본문 바로가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지발달 이론

by 벤자민버니 2022. 3. 8.

- 인지발달이론 : 개인이 정보를 지각하고 평가하며 이해할 수 있는 지적인 능력을 습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피아제(Jean piaget)는 가장 완전한 인지 이론을 형성하였다. 그는 인간 발달을 네 가지 전형적인 단계로 분류하였다 즉 감각 운동기(sensorimotor stage : 출생 x 2세), 전조작기(preoperational stage : 2세 x 7세),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stage : 7세 x 11세),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stage : 11세 x 청년기)

(출처: 사회복지학 사전, 이철수 외, 2009) 

 

-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 

도덕 판단에 대한 콜버그의 이론은 아동이나 청소년에게 가설적 딜레마를 제시한 후 그 딜레마에 어떻게 접근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발전했다. 콜버그가 사용한 도덕적 딜레마는 여러 종류가 있으나, 그 중 가장 유명하고 많이 인용된 이야기가 하인츠의 딜레마(Heinz's dilemma)이다. 하인츠의 딜레마란?

"유럽 어느 곳에선가 어떤 부인이 암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그부인을 살리는 약은 오직 한 가지밖에 없었다. 이약은 같은 마을에 사는 어느 약제사가 발견하였는데, 약제사는 약값을 원가의 10배나 매겨 놓았다. 아픈 부인의 남편인 하인츠는 돈을 구하려고 아는 사람들을 모두 찾아다녔으나 약값의 절반밖에 마련하지 못했다. 남편은 약제사에게 부인이 죽기 직전이라는 사정을 설명하고 약을 싸게 팔거나 아니면 외상으로라도 팔아달라고 간청한다. 그러나 약제사는 '안됩니다. 나는 이약을 개발하기 위해 일생의 공을 들였고, 이 약을 통해서 돈을 벌려고 합니다.'라고 대답했다. 절망한 하인츠는 결국 약방 문을 부수고 들어가 약을 훔쳤다." (Colby & kohlberg, 1987)

=>"하인츠는 약을 훔쳐야만 했는가? 절도는 옳은 것인가 아닌가? 남편의 의무는 무엇인가? 좋은 남편이라면 약을 훔쳤을 것인가? 가격 책정에 대한 규정이 없는 상태에서 약제사가 원가의 10배 가격을 붙인 것은 옳은 일인가? 이러한 질문에의 응답을 기준으로 콜버그는 세 가지의 도덕 발달 수준과 이론을 개발한다. 

(출처 : 심리학용어사전, 2014)

 

콜버그가 도덕성 발달이론에서 예로 든 하인트 딜레마가 궁극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 콜버그는 인간이 경험하는 딜레마 상황을 통해 도덕적 사고의 발달의 중요성을 주장한다.

즉 도덕적 딜레마 상황을 제시하고 연령별로 그러한 상황에 처했을 때 사람은 각자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그리고 왜 그러한 판단을 내렸는지 파악하는 방법을 통해 인간의 도덕적 사고의 발달하게 된 배경과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 즉 콜버그는 절박한 상황에서의 인간의 행동 방법을 물어봄으로써 인간의 성격과 행동발달을 구성하는 도덕적 판단이 추론되어가는 과정을 분석하고자 한다. 

 

1. 인지발달이론 개요

 - 우리가 생각하는 인지란

상상력, 창의력, 계획, 추리, 추론, 문제 해결, 개념 정리, 관계 짓기 등이 모두 포함

- 인지 개념

: 사고할 수 있는 능력, 즉 지각, 지는, 언어 등을 포함하는 정신과정으로 본다.

: 인지발달이란 인지기능의 복합적인 발달과정을 의미한다. 

- 인지이론에서는 인간을 주관적인 존재로 규정

세상에 객관적인 현실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각 개인이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하는 주관적 현실만 존재한다고 본다. 

ㅇ 인지이론이란

- 인간의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사고, 태도, 동기 등 비지적 능력의 발달에 관한 인지발달 이론과 클라이언트의 왜곡된 인지구조를 변화시켜 새로운 인지구조로 재구조화하여 문제 해결을 돕는 인지 치료 이론이 포함

- 인지 이론의 성격 이론가들은 인간 체계를 분류하는 정서, 인지, 행동 중에서 인지를 가장 중시한다. 

=> 요약하면, 인지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스스로 사고하고 정보를 처리하며 지식을 저장하면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환경에 적응하는 존재이다. 

- 따라서 무의식을 강조한 정신분석이론에 비해 긍정적이다, 인간의 성장 가능성을 시사한다. 인간을 사고하는 합리적인 존재로 인식한다. 

* 인지발달 이론 : 피아제(Piaget) 이론, 콜버그(Kohlberg) 이론

* 인지치료 이론 : 벡(Beck) 이론, 앨리스(Ellis) 이론

 

2.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

 

1) 개요 

- 인간은 주어진 환경을 이해하고 이에 적절히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내적인 정신구조를 바꾸어 간다고 생각한다. 

- 피아제는 인간 정신구조의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인지적 발달과정을 주로 연구한다.

- 즉 경험을 조직화하고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으로 말한 것을 해석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정보를 종합하고, 복잡한 과제를 분석하는 포괄적 인지적 활동

 

2) 주요 개념

- 도식(schema) = 형태

: 사물이나 사건 또는 사실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이나 개념을 말한다. 

: 피아제는 개념보다 도식이란 용어를 선호한다. 

=> 행동이 유사한 상황 속에서 반복되면서 전승되거나 일반화되는 행동의 구조나 조직 의미

: 유기체가 외부 의사 물을 인지, 대응하는 데 사용하는 사고나 반응의 틀

ex) 유아는 기본적 도식 가지고 태어나 조직화와 적응 과정을 통해 새로운 도식 개발, 변화 

ex) 빨기, 잡기 최초의 도식(본질적이고 반사적임) => 쥐기 => 보기 차츰 반경 넓어지고 통합

- 도식은 일생에 걸쳐 계속하여 개발되며 수정된다. 

: 조직화는 인간이 성장하면서 점차 도식이 다양하고 정교하게 변화한다. 인간이 성장하면서 상이한 도식들을 결합시키는 것을 조직화라고 한다. 

 

- 순응 과정(adaptational process)

인간의 인지를 유기체가 환경에 생물학적으로 적응하는 형태로 본다. 인간은 환경의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능동적으로 해석하고 자신의 지식을 구성

- 인지발달은 유기체가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순응 과정을 거쳐 발생 : 동화, 조절 2개 하위 과정 

: 동화는 자극 혹은 입력되는 정보자료를 이전부터 존재하는 구조의 활동에 의해 처리한다. 

ex) 동화는 '네 발 달린 짐승을 개라고 한다'면 아이는 모두 개로 이해 => 동화

: 조절은 정보에 적응하기 위한 구조 자체의 능동적 변화를 의미한다. 

ex) '네 발이 있으나 뿔이 있는 것은 개가 아니라 사슴이다'로 이해의 틀을 변화시켜 아닌 사슴을 이해하는 것 => 조절

'네 발로 다니고 뿔이 있으나 수염이 있다'는 것은 염소를 의미 => 조절을 경험

=> 동화와 조절 과정을 거쳐 인간의 인지가 차츰 발달한다. 

 

- 평화와 평형 : 동화와 조절이라는 반대 성질을 지닌 것의 결과물

: 모든 유기체는 평형상태를 유지하려고 애쓴다. 

: 평형상태에 있어야만 환경과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한다. 

- 자아 중심성 : 자신과 대상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

자신의 사고와 감정에 초점을 두고 자신의 지식을 이용하게 된다. 

* 유아기 : 자신과 주변을 구분하지 못한다. 

  청소년기 : 현실과 환상을 구분하지 못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