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로저스의 현상학적 성격이론

by 벤자민버니 2022. 3. 10.

- 인본주의 성격이론 : 한 개인으로서의 인간은 독특한 존재이므로, 심리학자나 정신과 의사들은 인간을 독특한 한 개인으로 인식하고 다루어야 한다고 본다. 이 운동을 20세기 심리학의 2가지 주류인 행동주의와 정신분석학에 대한 반발에서 일어난다.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은 행동주의자들이 인간의 기본 측면인 느끼고 생각하는 개인 이하는 점을 무시한 채 유기체로서의 인간의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 분석하는 데에 지나치게 관심을 쏟았음을 비판한다. 

(출처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로저스의 self(자아) : 현대심리학에서 자기라는 개념은 이전의 영혼 개념과 대체된 것이다. 

자기라는 개념은 많은 성격이론의 중심적 특징이며 자가의 성숙은 개체화 과정이며 이 과정은 건강한 성격이 추구하는 목적, 로저스는 사람의 자기 개념이 그의 행동 및 그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를 규정하며, 개인이 자신의 자기 개념을 바꿀 때만 진정한 치료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이론화한다. 

(출처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1. 인본주의 성격이론 개요

 

- 무의식적 결정론에 근거한 정신분석이론과 환경결정론에 근거를 두고 있는 행동주의 이론에 반대하는 "제 3의 심리학"에 해당

- 인본주의는 실존주의 철학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를 중시한다. 

: 실존주의 이론이 인간의 소외, 무의미 등 존재성에 제한을 두는 반면 VS 

인본주의는 사랑, 창조, 의미, 자아실현 등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둔다. 

=> 각 개인이 자신의 행동과 경험의 결정자임을 강조

- 인본주의 이론의 발달에 기여한 사람 : 칼 로저스(인간을 통합적 존재로 본다. )

: 모든 인간은 긍정적 방향으로 성장하고자 하는 경향과 자기결정 및 자아실현을 가진다. 

: 인간행동은 개인이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 개인의 주관적 경험을 강조한다. 

 

2. 로저스이 현상학적 성격이론

 

1) 개요 

- 인간을 이해하는 데 있어 문제의 역사보다 'Here and now'(지금 여기)를 강조하므로 현상학적 성격이론으로 불린다. 

- 로저스는 인간을 통합된 유기체로 행동하기 때문에 전체론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본다. 

- 자기(self)를 중시한다. 

: 인간행동은 무의식에 의한 어떤 힘이 아닌 그가 세계를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달린다. 

: 따라서 개인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적 준거들을 이해해야 한다. 

=> 현상학은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 감정, 세계와 자신에 대한 개인적 견해와 사적 개념을 연구

즉 하나의 경험이나 현상에 대한 여러가지 개인들의 체험의 의미를 기술한다. 

=> 로저스는 존엄성, 가치, 자기결정권, 사회적 책임, 상호성을 중시하므로 사회복지 실천의 철학 조화를 이루는 원칙이라 할 수 있다. 

 

2) 로저스의 인간중심적 접근방법(person-centered approach)

- 인간본성과 행동에 관한 기본 가정은 근거로 치료적 관계를 촉진시키는 조건 원칙 제시

: 치료가 감정이입적이고,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경심을 가지고. 내담자를 수용하고, 진정한 관심을 보이게 되면 긍정적 변화가 생겨난다고 여긴다. 

- 인간본성에 대한 낙관적인 관점과 신념을 가진다. 

 

ㅇ 로저스의 인간 중싱적 접근방법의 기본 가정

ㆍ인간은 믿을 수 있으며 능력이 있고 자기 이해와 자아실현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ㆍ인간 행동은 각 개인의 주관적 경험과 내적 준거 체계에 따라 달라진다. 

ㆍ인간 행동의 궁극적인 목표는 자아실현이다. 

ㆍ신뢰와 존경의 분위기가 조성된다면 인간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성장하고 발달할 것이다. 

ㆍ진정한 관심, 수용, 감정이입적 이해 등을 포함한 원조자의 긍정적 태도는 효과적 원조 관계의 필수적인 조건이다. 

ㆍ내담자의 주관적 경험을 존중하고 자유와 책임성 자율성을 고양하고 선책권을 부여한다. 

ㆍ치료자는 원조 관계에서 나타나는 현재 행동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3) 주요 개념 

(1) 현상학적 장 

- 현상학적 장이란 경험된 세계 또는 주관적 경험으로 불리는 개념이다. 

- 특정 순간에 개인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 로저스는 동일한 현상이라도 개인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고 경험하므로 이 세상에는 개인적 현실 즉 현상학적 장만이 존재한다고 본다. 

: 프로이트가 과거 경험이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이라고 본 것에 대비

: 로저스는 현재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과거 그 자체가 아니라 개인의 현재 해석으로 본다. 

 

(2) self(자아)

- 로저스 인본주의의 이론의 가장 중요한 구성 개념이다. 

: 자아는 현재 자신이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개인의 개념으로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상

: 현실의 자아와 미래의 이상적 자아로 구성된다. 

: 현재 경험이 자아 구조와 불일치하면 개인은 불안을 경험한다. 따라서 자아구조와 주관적 경험 사이의 일치가 매우 중요하다. 

- 자아가 사용하는 기본적 방어기제로 지각의 왜곡과 부정을 제시한다. 

: 지각의 왜곡은 받아들이기 어려운 경험을 자신의 현재 자아상과 일치하는 형태로 변형하여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

ex) 낙제인 학생이 "교수의 채점이 불공정했어 or 내가 운이 나빴어"

: 부정은 위험한 경험이 의식화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자아 구조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 방어기제는 자아개념과 불인 치하는 경험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무시해버린다.

ex) 시험도 못 보고 보고서도 안된 학생이 낙제되지 않는 방법을 교수에게 물어봄

 

(3) 자아실현 

- 인간의 기본적 욕구 중 하나가 바로 자기를 유지하고 증진시키며 실현하려는 욕구

- 자기 유지, 자기 향상, 자아실현이 모두 포함된다. 

 

(4) 긍정적 관심

- 자아개념이 나타남에 따라 인간이 보편적으로 갖게 되는 욕구

- 다른 사람으로부터 받게 되는 수용, 사랑, 승인, 존중 등을 포함하는 개념

- 긍정적 관심은 자신을 인정할 때의 개인적 만족과 인정하지 않을 때의 불만족을 통해 발달하는 욕구

-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은 아동에 대한 부모의 사람처럼 어느 개인의 행위에 부여된 가치와는 무관하게 긍정적인 관심을 주거나 받는 것을 의미한다. 

- 로저스의 이론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의 하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