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장애는 알려지지 않거나 인지되지 않은 위험 또는 갈등에 대한 불안, 공포, 근심, 긴장의 만성적 또는 재발하는 상태. 불안장애의 주요 형태로는 일반적인 불안장애(generalizedanxiety disorder),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정신 후유증(post traumaticstress disorder), 광장공포증(agoraphobia), 사회 공포증(social phobia)이 있다 (* 출처 : 사회복지용어사전)
공포 장애와 불안장애는 공포와 불안을 주요 증상으로 경험하는 이상행동으로 공포장애와 불안장애로 구분되며 공포 장애는 공포증과 트라우마(후 외상성 장애)이고, 불안장애는 공황장애와 일반화된 불안장애로 구분된다. 공포증이란 어떤 대상이 주는 현실적인 위험보다 훨씬 지나친 공포 반응이 지속되는 문제를 말하고 ex) 개와 고양이에 대한 지나친 두려움으로 외출을 못하는 것 등 이 있다. 공포증은 증세가 명확해서 진단이 쉬우며 공포증의 종류로는 광장 공포증, 사회 공포증, 특수 공포증(특정 동물, 폐쇄 장소, 어둠, 질병) 등이 있다. 광장 공포증은 가장 흔한 공포증. 공포증의 50%가 이에 해당되고
시장, 넓은 공간, 군중, 여행, 길에 대한 두려움이며 이 증상을 가진 사람은 집에서 떠나 있으면 재난이 자신에게 일어나고 누구도 도와주지 못한다고 여기며 공포증 중에서 가장 활동 기능이 약하고 집을 떠나려 하지 않음, 매우 불안하고 우울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불안장애에도 취약하다. 사회 공포증은 사회적 모임에서 심하게 두려움이 존재하고 사회공포증을 가진 사람은 누구에게나 보이고 관찰되는 것을 두려워하며, 사회공포증은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중요해지는 청년기에 시작된다. 사회공포증은 남자보다 여자에게 더 많음. 동물 공포증은 대개 유아기에 시작, 청소년기 이후에 시작되지 않으며 매우 특정한 것에 국한되며 즉 고양이는 두려워하나 새나 개는 좋아할 수 있고 대부분의 동물공포증 환자는 여성이며 이 공포증 외에 다른 영역에서는 무리 없이 활동한다. 공포증에 관한 이론은 정신분석이론에 입각, 행동 이론에 입각이 있다. 정신분석이론 입각은 프로이드의 분석에서 유래했으며, 억압된 원초아의 충동에 의해 일어난 불안에 대한 방어이고, 환자가 두려워하는 원초아의 충동적 상징성과 연관이 있으며 자신이 받아들일 수 있는 대상에게로 옮겨져서 공포증으로 경험되며, 공포의 대상은 갈등을 상징하고, 자신이 이러한 갈등에 대해 통찰력을 갖게 됨으로써 공포증은 치유될 수 있다. 행동이론에 입각은 공포증은 학습된 것이며, 공포증의 조건형성은 특별히 고통스러운 무조건 자극에 의해 조건형성된 두려움이다. 공포증에 대한 치료적 접근으로 정신분석 치료는 공포증은 잠재된 갈등을 상징하며 따라서 꿈, 최면, 자유연상 등을 통해 억압된 공포의 근원을 찾아 이것을 해결하고자 하고 행동이론 치료는 체계적 둔감화, 모델링, 홍수 법 등에 의해 시도되며 체계적 둔감화는 긴장완화, 공포의 대상에 대한 순서 결정, 역조 건 형성의 세 과정으로 이
루어 지고 모델링은 자신이 두려워하는 것을 해내는 모델을 관찰하고 그 모델이 고통을 경험하지 않은 것을 봄으로써 공포증이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며, 홍수 법은 환자가 두려워하는 상황을 회피하지 않고 상상하거나 또는 실제로 그 상황에서 견디게 하면서 원래의 고통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공포증을 치료하는 시도이다 ex) 폐소공포증 환자가 밀폐된 공간에 오래 있게 하고 고통스러운 사건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 공포증이 완화된다
후 외상성 장애는 인간이 겪을 수 있는 보편적 범위의 고통을 벗어난 특정한 사건에 의해 생기고 홍수, 지진, 화재 등을 심하게 경험한 사람은 후외상성 장애를 보이고, 보통 위와 같은 천재지변과 인간의 사건으로 구분된다. 후외상성 장애의 치료적 접근은 사건과 관련된 대상이나 장소에 대한 공포 반응을 감소시키기 위해 체계적 둔감화를 시도하며 유사한 경험을 한 대상들끼리 감정을 공유하고 집단치료를 추구하기도 한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체계이론 (0) | 2022.04.20 |
---|---|
강박장애와 신체형장애 (0) | 2022.04.19 |
이상행동의 모델 (0) | 2022.04.17 |
이상행동 (0) | 2022.04.16 |
매슬로우 (0) | 2022.04.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