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의 행동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제이론들

by 벤자민버니 2022. 2. 28.

(2) 행동주의 이론

인간의 행동이 환경에 의해 좌우된다고 보고 조작적 조건 형성이나 관찰학습을 통해 인간 행동의 습득 될 수 있다는데 초점을 둔 이론 

: 대표적 이론은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과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ㅇ 조직적 조건형성이론의 원리를 활용하여 행동의 변화를 추구하는 기술인 행동수정은 아동복지, 장애인복지, 정신보건사회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ㅇ 행동수정은 관찰이 가능한 클라이언트의 문제행동을 대상으로 정적강화, 부적 강화, 소거, 변별, 충만, 쳬계적 둔감화. 등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문제행동을 수정한다. 

 

ㅇ 사회학습이혼은 사회적 상황 속에서 행동의 학습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인간 행동의 습득에서 관찰 학습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한 이론이다. 

ㅇ 사회복지실천에서 클라이언트가 접하는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여 환경의 변화를 통해서 글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즉, 사회학습이론은 클라이언트가 문제행동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차단하고 바람직한 행동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증진시켜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한다. 

 

(3) 인본주의 이론

인간이 건전하고 자발적이며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을 지고 합리적이고 건설적인 방향으로 나가는 미래지향적인 존재라고 보는 이론이다. 

 

: 대표이론은 로저스의 현상학 이론과 매슬로우 자아실현 이론이다. 

 ㅇ 현상학이론: 

- 인간마다 현실을 달리 지각하고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이 행동을 지배한다고 보며, 자기 자신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를 강조한 이론이다. 

- 한 인간에 대한 관점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문제를 인식하고 스스로 해결해나가도록 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한다. 

-즉, 클라이언트 중심치료 (client-centered therapy)를 통하여 공감적 이해와 수용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의 자기 가치감과 자기 이해를 증진시켜 사회적 기능을 향상함으로써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ㅇ 자아실현이론:

- 인간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 성격의 성숙을 포함한 자신의 성장과 발전을 할 수 있는 존재이며, 인간 행동이 자신의 욕구를 추구하려는 동기에 나타난다고 본다. 

- 관점은 사회복지 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즉,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 자신의 사회적 기능을 향상할 수 있게 하며, 성장동기를 유발해 그들의 욕구와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4) 인지발달 이론

인간이 환경과의 적응을 통해서 자발적으로 인지구조를 발달시켜 합리적인 사고를 갖게 된다고 보는 이론이다. 

 

: 대표 이론은 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 콜버그의 도덕성 발달이론 등 

- 인지발달이론은 아동의 사고발달에 초점을 둔 이론이다. 

- 도덕성 발달이론은 인간의 도덕성 발달이 인지발달 수준에 따라 단계별로 이루어진다고 보는 견해이다. 

 

5) 사회체계 이론 

ㅇ 인간이 상호작용을 하며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 구조를 설명한 이론으로서, 인간이 체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체계를 변화시킨다고 보는 견해이다. 

ㅇ 대표 이론 : 브론펜 브레너(Bronfenbrenner)의 생태학 이론과 베르탈란 피(Bertalanffy)의 일반 체계 이론

ㅇ 생태학 이론은 인간이 환경의 제 요소들과 끊임없이 상호교류를 하면서 그들의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변화시키며, 환경과의 지속적인 상호적응 과정을 통하여 환경에 의해서 변화된다는 것이다. 

ㅇ 일반 체계 이론은 체계가 여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분들 간의 상호작용과 상호의존적 관계를 통해서 체계의 한 부분의 변화는 전체로서의 체계와 체계 내의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2.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특성

 

- 프로이트 이론에 대한 사회복지분야의 관심은 사회복지 실천의 과학적 기반을 찾으려는 사회복지 전문직의 고민에서 출발했다고 여겨진다. 

- 프로이트는 인간을 수동적 존재이자 결정론적 존재로 여긴다. 

즉 자유의지에 변화가 가능한 능동적이며 적극적인 존재가 아닌 비합리적이고 통제할 수 없는 무의식적 본능에 의해 지배를 받는 수동적 그리고 소극적인 존재하는 것이다. 

- 인간의 기본적 성격구조가 출생 ~ 6세까지 경험에 의해 결정된다고 여긴다. 

- 자유 연상법을 통해 무의식적 세게를 연구하고 이에 기반하여 성격이론을 수립한다.

무의식에 관한 연구를 통해 행동을 유발하는 과정을 설명하려고 한다. 

- 기본적인 심리적 동기 2가지

: 성적 충동과 공격적 충동 중시한다. => 개인 심리에 영향 미친다. 

: 인간의 심리사회적 현상은 두 가지 근본적인 충동인 성과 공격성에 근거한다고 본다. 

ex) 아동의 사회화는 부모와 사회가 기대하는 바에 따라 성적 충동을 다른 대상으로 전환한다. 

인류 역사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한 전쟁은 인간의 공격적 행동을 전환이다.

=> 학문적 기여도와 달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은 지나치게 환경의 중요성을 도외시하고, 클라이언트에 대한 병리적 시각을 갖게 했다는 한계점들로 비난을 받는다. 

 

① 자유 연상: 특별한 의식이나 순서 없이 긴장을 풀고 마음속의 모든 생각들이 떠오르는 대로 자유스럽게 말하는 방법을 말한다. 

- 생각들을 아무런 방어 없이 연상하다 보면 무의식 속의 고통스러운 기억들이 의식화되고 관련 자료들을 해석함으로써 통찰력을 갖게 된다.

② 꿈의 해석: 꿈꾸는 동안의 무의식 자료들을 자유 연상하고 개인적 정신 세계 와 연결한다.

③ 전이(transference): 분석가에게 전이된 환자의 어린 시절 인물의 감정과 사고를 깨닫고 해석하여 줌으로써 환자가 통찰력을 갖게 한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어기제  (0) 2022.03.02
정신분석이론  (0) 2022.03.01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0) 2022.02.27
노년기  (0) 2022.02.26
장년기(중년기)  (0) 2022.02.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