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용어 풀이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 근대에 가장 영향을 끼친 프로이트 정신분석 성격이론. 프로이트는 자유롭게 떠오르는 무의식의 세계를 통해 성격이론을 수립한다. 성격이론은 특정한 개인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독특한 방식을 말한다.
프로이트에 따르면, 인간의 성격은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라는 3가지 구성요소를 갖고 있다. 이드는 충동을 만족시켜 긴장을 해소하려는 타고난 경향, 즉 쾌락을 얻고 고통을 피하려는 경향을 말한다. 자아는 좀 더 높은 수준의 지적, 논리적 기능 및 지각 기능을 통제한다. 자아의 주요한 표현은 현실적, 논리적 사고이다. 프로이트가 이론화한 초자아는 사회적 가치와 도덕적 가치의 수용을 나타내며, 양심은 초자아의 한 측면이다. 인간 성격의 전체적 방향은 타고난 충동이나 본능을 만족시키는 쪽으로 움직인다고 프로이트는 주장했다. 또한 개인의 성격 구조는 충동과 이 충동을 통제하는 동시에 만족시키는 과정 사이의 투쟁에서 발달한다고 주장했다. (출처-브리태니커 백과사전)
- 심리성적 발달단계: 사람이 태어나서부터 죽을 때 까지의 정신생리학적 성장 및 쇠퇴 과정을 말한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이 성적인 욕구와 관련하여 발달한다고 믿었다. 즉 정신적 에너지이나 본능적 충동인 리비도가 신체의 어느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가에 따라 심리성적 발달 단계를 5단계 즉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잠복기, 생식기로 구분한다.
(출처-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상반되는 다양한 성격이론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프로이드가 주목받는 주요한 이유로는
: 프로이드는 인간의 무의식을 최초로 그리고 심층적으로 연구, 분석한다.
실제로 인간 정신세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무의식이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프로이트는 중요한 무의식 영역인 성적, 공격적 충동의 발생과 갈등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체계화시킴으로써 이후 20세기 서구 문명의 제반 학문적 배경과 분야의 지적발달에 크게 기여한다.
따라서 많은 학자들의 바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중요한 사상가 심리학자로 인식된다.
ㅇ 정신분석이론 개요
- 정신분석이론은 20세기 서구문명의 지적 충격이라는 프로이트에 의해 최초로 개발된 성격발달이론이다.
: 인간의 정신세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무의식에 초점을 둔다.
: 무의식적인 성적 공격적 충동에 의해 발생하는 갈등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한 이론이다.
: 프로이드 이론의 특징은 인간은 성격발달에서 성적 욕망을 특히 강조한다.
=> 현재 프로이드의 이론은 많은 학자들의 비판을 받지만 여러 학문에 영향을 끼친다.
- 아들러와 융 등은 프로이트의 제자이다.
- 프로이드는 심리학뿐만 아니라 문학 등 제반 분야 및 20세기 지적발달에 상당한 기여 한다.
1. 인간의 행동발달을 이해하는 제이론들
ㅇ 인간의 행동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제이론들
- 정신역동이론
- 행동주의 이론
- 인본주의 이론
- 인지발달이론
- 사회체계 이론
1) 정신역동 이론 : 정신분석이론
행동을 유발하는 역동적 구조적 생득적인 내적 요인의 이해를 통해서 인간 행동을 파악하는 이론이다.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1),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 융의 분석 심리 이론, 아들러의 개인 심리 이론 등 이 있다.
ㅇ 정신분석이론:
- 인간의 정신세계 중에서 무의식에 초점을 두어 무의식적인 성적, 공격적 충동에 의해 발생한느 갈등을 파악하고 분석한 이론이다.
- 사회복지 실천에서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초기 아동기의 부모와의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내면적인 문제를 정확히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 정신분석이론은 자아의 방어기제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ㅇ 심리사회이론:
- 자아의 발달과 기능에 큰 관심을 갖고 인간 행동의 발달에서 사회적, 문화적 요인을 중요시한다.
- 점성 원칙에 의해 지배되는 인간의 전 생애를 통한 발달 변화를 강조한 이론이다.
- 사회복지 실천에서 생애를 통한 인간 행동의발달에 관심을 갖게 하였으며, 인간행동의 발달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타자들(significant others)의 역할에 대해 주목하도록 하였다.
- 특히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확립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청소년과 함께 일하는 사회복지사에게 정체감 확립에 기여할 수 있는 주변 상황을 조성하도록 하고 있다.
ㅇ 분석 심리 이론:
- 무의식의 본질에 주된 관심을 두면서 성격 기능의 다양한 체계를 포괄하는 이론이다.
- 사회복지 실천에서 클라이언트로 하여금 자신의 무의식에 대한 관심을 통해서 성격의 안정과 발전을 기할 수 있게 하며, 이해와 화합을 촉진하여 가족관계의 원활함을 기할 수 있게 한다.
- 인간의 성격발달에서 중년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어서 사회복지사에게 중년기의 위기와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한다.
ㅇ 개인 심리 이론:
- 인간이 통합적인 존재로서 열들 감을 극복하고 우월성을 추구하면서 개인적으로 삶의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고 보는 이론이다.
- 사회복지 실천에서 클라이언트가 낙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자신의 삶을 지각하고 스스로 자신의 발전을 위해 노력할 수 있게 한다.
- 자신의 열등한 측면을 인식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삶의 원동력으로 인식하게 한다.
- 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을 보다 충실하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분석이론 (0) | 2022.03.01 |
---|---|
인간의 행동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제이론들 (0) | 2022.02.28 |
노년기 (0) | 2022.02.26 |
장년기(중년기) (0) | 2022.02.25 |
청년기 (0) | 2022.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