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정신분석이론 주요 개념
1) 리비도: 정신적 에너지 또는 본능적 충동 의미한다.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개인의 성격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처음에는 성적 에너지로 표현, 그 후 개념의 확대로 사랑과 쾌감 포함, 사랑은 신체적 접촉을 가지고자 하는 욕구에서 모든 욕구를 망라하게 된다.
- 리비도는 즉 심리적 혹은 생리적 의미에서의 성적 에너지를 의미한다.
- 이후에 리비도 개념을 에로스와 타나토스로 설명
① 에로스(eros): 생존의 본능(자기애, 배고픔과 갈증 성욕의 해소를 추구)
② 타나토스(thanatos): 죽음의 본능(자기 파괴, 타인 파괴 - 전쟁)
2) 의식, 전의식, 무의식 => 인간의 3가지 의식 수준
- 눈에 보이지 않은 정신을 일종의 지도로 제시하여 가시화한다 => 마음의 지형학적 모델로 칭한다.
- 마음을 지도로 개념화 : 무의식, 전의식, 의식
(1) 의식 : 현재 느끼거나 알 수 있는 ㄴ모든 경험과 감각을 의미한다. 의식된 내용은 순식간에 지나가고 보통 전의식이나 무의식에 잠재된다.
(2) 전의식 : 현재 의식되지는 않지만 전에 의식한 것이 저장된 것, 주의집중을 통해 쉽게 의식화될 수 있는 경험이다
ex) 초등학교 친구 이름이나 특성 설명
(3) 무의식 : 인간 정신세계의 깊은 곳에 감추어져 잘 기억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 인간의 의식 내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인간 행동을 결정하는 주요 원인이다.
- 소말, 공포, 충동, 억압된 기억 등이 저장된 무의식이 행동을 결정하게 된다.
3) 원초아, 자아, 초자아 => 인간의 성격구조의 구성을 의미: 마음의 구조적 모형이라고 칭한다.
지형학적 모델 다음으로 초기의 개념들을 통합하여 구조적 모델을 제시
인간의 성격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로 원초아, 자아, 초자아가 인간 행동을 설명한다.
이들 세 부분이 각각 상호작용을 통해 전체 성격 체계를 구성하고, 각각의 하위 체계는 개인의 행동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 => 성격은 실존이 아닌 개념화
(1) 원초아(id) : 성격의 가장 원초적인 본능과 충동 부분. 완전한 무의식. 마음의 에너지 저장고 쾌락(긴장 감소) 원칙에 따라 움직인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에서 강조하는 무의식 세계의 주 메커니즘에 해당된다.
인간의 출생 직후 심리 세계는 원초아만 존재
- 원초아는 두 가지 특성을 지닌다.
① 일차적 사고 과정: 신체적 긴장을 경감시키기 위해 특정 대상의 기억 표상을 만드는 것
ex) 목이 마를 때 물을 마시는 상상을 하는 것
1차적 사고는 일시적 만족을 주지만 근본적인 긴장은 감소시킬 수 없음 : 2차 사고가 필요하다.
② 쾌락 원칙: 고통은 최소화하고, 쾌락을 최대화시키려는 속성을 가진다, 참을성 없이 즉각적인 만족을 구하고자 하는 특성을 의미한다.
(2) 자아(ego) : 조직적이고 구체화된 정신구조
원초아로 하여금 충동을 지연시키고 현실을 고려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원초아와 현실 간의 갈등, 자아는 원초아로부터 발달한다.
- 자아도 두 가지 특성 가진다.
① 이차적 사고 과정
: 현실적인 계획을 세울 때까지 만족을 지연하는 사고 과정(현실적 사고)
이차적 사고 과정은 현실 검증을 하는 것으로 외부세계에서 일어나는 자극들이나 지각들을 분별하는 자아의 능력을 의미한다.
② 현실원칙
: 긴장의 방출을 지연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가 수용하는 형태로 만족을 얻는다.
(2살 경부터 발달하기 시작하여 이드와 갈등관계에 놓인다. )
(3) 초자아(superego) : 가장 마지막에 발달하는 부분
양심과 자아 이상으로 이루어진 정신구조의 최고 단계
자아로부터 발달, 성격발달에서의 동일시 과정이 초자아 형성, 에너지 공급
=> 부모 모방, 가치와 신념 태도 등을 학습 & 사회규범, 전통적 가치, 이념 등
즉 아이가 부모의 사회적 가치와 이상을 동일시함으로써 발달하게 됨
동에서 출발하여 사회적 관계의 세계가 확대될수록 초자아도 확대
4.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 단계: 성격발달 시킴
1) 성격발달의 3가지 기본원칙
① 정신적 결정론 : 인간의 정신적 활동이 이전의 행동이나 사건에 의해 결정된다.
② 무의식의 중요성 : 인간의 행동이 의식적 과정이라기보다는 무의식에 의한 동기 유발
③ 리비도: 본능적인 성적 에너지가 행동과 사고의 동기가 됨
프로이트는 모든 본능이 근본적으로 성적인 것과 관련
2) 심리성적 발달단계
- 인간의 성격발달도 성적 욕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기고 이를 심리성적 발달이라 칭한다.
- 심리성적 발달단계는 유아기 ~ 청소년기 다섯 단계에 걸쳐 일어난다.
- 구강기, 항문기, 남근기 => 특히 성격 형성에 결정적 그 외에 잠복기, 생식기로 구분된다.
리비도는 신체의 특정부위에 자리 잡고 그 부위에서 만족을 투구한다. 부위는 연령에 따라 변화한다.
- 심리성적 발달단계가 모두 성공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다.
: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의 진행이 방해받으면 특정 단계에 고착될 수 있음
고착되면 이후 단계에서 갈등을 다루는 데 사용할 에너지가 부족 => 성인기 성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좌절 또는 방임)
1) 구강기(orsl stage) : 출생부터 18개월까지 유아는 입으로 쾌락 얻는다.
아이는 입, 입술, 잇몸 등을 빨고 삼키고 깨물면서 만족을 얻게 된다.
2) 항문기(anal stage) : 대소변을 가리는 18개월부터 3세, 항문으로 이동
3) 남근기(phallic stage) : 3세부터 6세, 자신이 성기를 만지고 자극하는데서 쾌락 얻음
외디푸스 콤플레스와 엘렉트라 콤플렉스
4) 잠복기(latency stage) : 6세부터 12,13세 특정 신체부위 한정 없고 힘도 잠재된다.
5) 생식기(genital stage) : 사춘기부터 성인기까지, 생리적 변화가 특징, 격동적 단계
호르몬과 생리적 요인으로 잠재되었던 성격, 공격적 감정들이 강화
: 사춘기 전기
: 사춘기 후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릭슨의 심리학적 성격이론 (0) | 2022.03.03 |
---|---|
방어기제 (0) | 2022.03.02 |
인간의 행동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제이론들 (0) | 2022.02.28 |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 (0) | 2022.02.27 |
노년기 (0) | 2022.02.26 |
댓글